넷플릭스가 출시된 1999년부터 최근에 화제를 모으고 있는 ChatGPT까지 글로벌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자 100만 명 달성 기간을 살펴보고 ChatGPT에 대한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제목에 말씀드렸듯이 넷플릭스는 3.5년이 걸렸습니다. 그 이후 나온 온라인 서비스의 100만 유저 모집 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고 있습니다. 앞으로 얼마나 빠르게 세상이 변할 지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보면 재미있을 거 같습니다.
온라인 서비스별 100만 사용자 달성 기간
우선 글로벌 온라인 서비스별로 사용자 수 100만명을 달성한 기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비스명과 서비스 출시년도, 소요기간 순서로 표기하겠습니다.
- 넷플릭스 / 1999년 / 3.5년
- 페이스북 / 2004년 / 10개월
- 트위터 / 2006년 / 2년
- 에어비앤비 / 2008년 / 2.5년
- 드롭박스 / 2008년 / 7개월
- 스포티파이 / 2008년 / 5개월
- 인스타그램 / 2010년 / 2.5개월
- ChatGPT / 2022년 / 5일
넷플릭스는 세기말에 출시되어 3년이 넘어서야 100만 유저를 모았습니다. 5년 후에 나온 페이스북은 10개월, 10년 후에 나온 인스타그램은 2.5개월 만에 100만 유저를 모으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100만 사용자를 모으는 게 이처럼 빨라졌다곤 하지만 챗GPT의 100만 달성 소요기간은 정말 획기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단 5일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다른 글로벌 서비스와 비교해 엄청나게 짧은 기간입니다. 국내에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이 느껴집니다. 이미 인터넷 세상에선 ChatGPT를 사용한 후기와 그것을 활용한 각종 작업에 대한 후기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저처럼 포스팅을 작성하는 것조차 벌써 올드 패션으로 인식될 정도입니다. 세상은 지금까지 변해왔던 것보다 더 빠르게 변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ChatGPT 가 주목받는 이유
기존 AI 의 경우 이용자가 진짜 원하는 것을 알지 못한 채 키워드 검색에 불과했지만, ChatGPT는 질문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질문의 맥락을 이해합니다. AI가 받아 든 문제에 대해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사람이 실제로 작성한 것과 비슷한 수준의 문장으로 대답을 내놓습니다. 이거이 ChatGPT가 주목받는 이유입니다. GPT는 데이터 생성, 자가학습, 변형를 의미하는 단어의 앞글자를 딴 AI입니다. 현재 3세대로 볼 수 있는 GPT-3는 대화형 인공지능으로써 언어구조이해와 자연어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챗GPT입니다. 그리고 음성 인식을 통한 대화까지 가능한 4세대 모델까지 나와있습니다.
AI 세상은 반도체 산업의 성장을 이끌까
AI 시장 확대는 그래픽처리장치(GPU)의 수요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AI가 많은 데이터를 학습하고 처리하기 위해서는 GPU가 핵심부품이기 때문입니다. GPU 글로벌 마켓 셰어가 80% 인 엔비디아는 지난해 TSMC에 위탁해 신형 GPU를 생산했습니다. 이 물량은 모두 ChatGPT 개발운영사 OpenAI에 납품됐습니다. 이밖에도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비롯한 D램 등의 수요가 늘어 메모리반도체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HBM 은 연산속도를 빨리해 주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술 투자가 확대될 것이며, 시장규모는 연평균 30% 이상 커질 것입니다. 정리하면, AI 산업의 발달로 반도체 생산업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경제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