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이초 사건 뒷 이야기 - 선생님의 편지, 맘카페 회원, 민원인 변호사

by 보통우편 2023. 7. 21.
반응형

 

생전의 선생님 이야기: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에서 한 선생님에 대한 사건이 전해졌습니다. 1998년생인 이 분은 지난해 3월에 이 학교에서 처음 교편을 잡았으며, 최근 담당 반의 학교 폭력 문제를 처리하던 중 가해 학생 혹은 피해 학생의 학부모로부터 수십 통의 전화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서이초 교사들에 의해 "서이초의 민원 수준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라며 A씨도 이러한 민원에 시달렸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생전의 선생님은 학생들을 따뜻하게 대해줬던 것으로 보입니다. 2022년 9월 20일에 작성된 학생에게 쓴 선생님의 편지가 온라인에 공개되면서 선생님으로서의 정성과 사랑이 네티즌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습니다. 편지에는 "○○에게. 학교에서 해야 하는 것들도 늘 열심히 하고 선생님 말씀도 잘 듣는 우리 ○○아. 너의 노력 하나하나가 쌓이고 쌓여 이렇게 빛이 되는 날이 왔구나^^ 늘 대견하고 자랑스러워"라는 따뜻한 격려의 말과 함께, 학생의 장점을 칭찬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맘카페 여성의 이야기:

가짜뉴스를 유포한 한 맘카페 회원 여성은  21일 국회 의원회관을 찾아가 한 국회의원에게 눈물을 흘리며 사죄한 일이 알려졌습니다. 이 여자는 맘 카페에 '국회의원 연루설'이라는 식으로 글을 올리고 국회의원과 연관된 헛소문을 퍼뜨렸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여자은 의원실 관계자와의 만남에서 사과하며 선처를 구했습니다. 맘카페에 헛소문을 올린 사람이 뉴스에 등장한 일이 과거에도 있었는지 모르겠네요.


사과를 받은 국회의원은 개인적으로 사과를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런 가짜뉴스와 거짓말이 용인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사안으로 인해 한 의원은 정치적인 피해를 입었으며, 가짜뉴스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을 밝힌 바도 있습니다.

이와 함께 맘카페 여성이 지난 18일 서울 서이초등학교 사건과 관련하여 해당 피해자가 학부모들의 괴롭힘에 시달렸다고 주장하는 글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글은 교사 A씨의 사망과 관련하여 논란이 되고 있는데, 해당 교사가 폭력 문제를 처리하던 중 학부모들로부터 수십 통의 전화를 받았던 사실이 밝혀지면서 더욱 높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서이초 민원인 = 변호사 ?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의 사건을 계기로 '변호사 학부모들'의 과도한 민원과 압박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전현직 서이초등학교 교사들은 "서이초의 민원 수준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라고 언급하며, 변호사인 학부모들로부터 받는 민원과 압박으로 인해 매우 어려운 교육 환경을 경험하고 있다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특히 교사 A씨의 경우, 담당 학급의 한 학생이 다른 학생의 이마를 연필로 긋는 사건 이후, 가해자 혹은 피해자 학부모로부터 수십 통의 휴대폰 전화를 받았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수업 시간에 학생이 '선생님 때문이야'라고 소리를 질렀을 때, A씨는 출근 시 학생의 환청이 들린다고 동료 교사에게 얘기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다른 교사들도 학부모로부터 과도한 민원과 압박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교사 B씨는 학교폭력 사안 처리 당시 '내가 △△ 아빠인데 나 뭐하는 사람인지 알지? 나 변호사야'라는 전화를 받았다고 언급하였습니다. 교사 B씨에 따르면 대부분의 학부모들이 변호사였으며, 이로 인해 대다수의 교사들이 근무를 매우 어려워했습니다.

서울교사노동조합은 이러한 상황을 교사들로부터 제보받아 확인했습니다. 학부모의 과도한 민원으로 학생 생활지도의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노조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경찰과 교육 당국은 간과해서는 안 되며, 유족을 비롯한 전국의 교사 등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습니다.

변호사 학부모들로부터 교사들이 받는 과도한 민원과 압박에 대한 이야기는 교육 현장에서의 어려움과 정서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학교, 교사, 학부모, 교육 당국이 소통하고 협력하여 안정적인 교육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